본문 바로가기
유튜브 채널 성장

조회수 0에서 100만 뷰까지, 채널 성장의 숨겨진 공식 (시리즈 18편)18 - **유튜브 분석 툴을 활용한 조회수 예측** - 유튜브 스튜디오 & 외부 분석 툴 활용법, 창작과 분석이 만나는 지점

by hiwaywell4040 2025. 4. 12.


감이 아닌 '데이터'로 예측하는 시대

많은 유튜버들이 이렇게 말하곤 한다.
“이거 느낌 좋아서 올렸는데 왜 안 됐지?”
“이건 그냥 올렸는데 대박 났어요ㅋㅋ”

하지만 이런 운에 의존한 전략은 결국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.
지속 가능한 성장은 결국 데이터 기반 전략에서 나온다.
요나단은 늘 말한다.
“유튜브는 창작이지만 동시에 수학이다.”

오늘 이야기할 건 단순한 트래픽 분석이 아니다.
진짜로 '이 영상이 조회수를 터뜨릴 가능성'을 예측하고,
그 가능성을 수치화해서 전략을 짜는 방법
을 알려주겠다.


1. 유튜브 스튜디오, 알고 보니 보물 창고였다

📌 ‘도달범위 → 노출 클릭률 vs 평균 시청 지속시간’

이 조합이야말로 성공 가능성 예측의 핵심 지표다.

지표기준 수치해석 방법
노출 클릭률 (CTR) 5% 이상 썸네일+제목의 흡입력
평균 시청 지속시간 영상 길이의 50% 이상 콘텐츠의 체류력

이 두 가지가 초반 48시간 내에 일정 기준을 넘으면
유튜브는 해당 콘텐츠를 실험적으로 더 넓은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시작한다.

즉, 영상을 업로드한 지 2일 만에
“이 영상은 터질 수 있다 vs 아닐 수 있다”는 예측이 가능해진다.

👉 요나단의 팁
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조회수/시간/클릭률 그래프를 오버레이 해서 보면
조회수 상승 포인트에서 어떤 지표가 작용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.


2. ‘유입경로 분석’으로 제목·썸네일의 성공률 측정하기

유튜브 스튜디오 > 분석 > 콘텐츠 > ‘유입경로’를 보면
해당 영상이 어디서 들어왔는지 알 수 있다.

  • 홈 피드: 제목과 썸네일의 조합이 먹힌 경우
  • 추천 영상: 연관성 높은 콘텐츠에 노출된 경우
  • 검색: 키워드 최적화가 잘된 경우

예를 들어, 유입의 대부분이 ‘홈 피드’라면
썸네일과 제목의 조합이 시장에서 잘 작동하고 있다는 뜻이다.
이걸 다른 영상에도 복제하면 클릭률이 높게 유지되며 도달 범위가 넓어진다.

👉 요나단의 팁
제목에 사용된 키워드 조합을 메모장에 정리해서
‘조회수 잘 나온 영상의 제목 패턴 DB’를 만들어두면
나중에 영상 기획 시에도 큰 무기가 된다.


3. 외부 툴로 ‘터질 키워드’ 사전 탐지하기

🔧 추천 외부 툴 1: VidIQ

  • 실시간 인기 키워드 탐지 기능
  • 키워드 경쟁률, 검색량 분석 가능
  • 경쟁 채널의 인기 영상 제목 분석

📌 활용법:

  1. 내 채널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
  2. ‘Volume vs Competition’ 차트 확인
  3. 검색량은 많고 경쟁은 낮은 키워드를 선정
  4. 제목에 해당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삽입

🔧 추천 외부 툴 2: TubeBuddy

  • 썸네일 A/B 테스트 기능
  • 태그 추천 기능
  • SEO 점수 분석

📌 활용법:

  • 썸네일을 두 가지 버전으로 업로드해 테스트
  • 실제 CTR 수치로 어떤 썸네일이 반응이 좋은지 확인 가능
  • 유튜브 기본 기능으로는 할 수 없는 고급 전략이다.

🔧 추천 외부 툴 3: Google Trends + Noxinfluencer

  • 특정 키워드의 검색 트렌드 추적
  • 타 채널의 영상별 수익, 성장률 분석

📌 활용법:

  • Google Trends에서 시즌 트렌드를 파악
  • Noxinfluencer로 비슷한 주제의 타 유튜버 영상 조회수/조회수 추이 체크
  • **"지금 이 타이밍에 어떤 주제가 먹힐지"**를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.

4. 요나단의 실전 전략: ‘조회수 예측 공식’

요나단은 아래 공식을 자주 활용한다.
물론 대략적인 계산이지만, 예상 조회수 범위를 잡는 데는 꽤 유용하다.

objectivec
복사편집
예상 조회수 = [채널 평균 CTR] × [예상 노출 수] × [전환율 보정 지수]

예시:

  • 채널 평균 CTR: 6%
  • 예상 노출 수: 10만
  • 보정 지수: 0.8 (시즌 이슈 반영)

👉 예상 조회수 = 0.06 × 100,000 × 0.8 = 4,800회

이 수치는 "최소 어느 정도는 나올 수 있겠다"는 감각을 준다.
이를 기반으로 광고 예산을 배분하거나, 업로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.


5. 조회수 예측을 통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?

조회수 예측은 단순한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게 아니다.
크리에이터의 전략적 판단을 돕는 실전 무기다.

  • 영상 기획에 앞서 '될만한 주제'를 선별
  • 썸네일 테스트 후 ‘확신 있는 디자인’으로 확정
  • 조회수가 예상보다 낮을 경우 즉시 썸네일·제목 수정
  • 조회수가 예상보다 높을 경우 빠르게 후속 콘텐츠 기획

👉 데이터 기반 전략은 콘텐츠 생산성을 극대화한다.


마무리하며 – ‘창작과 분석’이 만나는 지점

유튜브는 더 이상 ‘감’만으로 성공하는 시대가 아니다.
실제로 유튜브가 말하는 Top Creator들의 공통점은
**"자신의 채널 데이터를 수시로 분석하고, 콘텐츠 방향을 미세 조정하는 능력"**이다.

너는 지금 그 시작점에 서 있다.
이제는 단순히 영상을 올리는 단계를 넘어
조회수를 ‘예측하고’, 성장 곡선을 ‘계획하는’ 크리에이터가 되어야 한다.

이 글이 너의 전략적 사고에 불을 지펴주었길 바란다.
다음 편에서는 ‘구독자 증감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’에 대해 다뤄보겠다.

요나단은 늘 옆에서 함께하겠다.
데이터는 거짓말하지 않는다.
이제, 유튜브를 ‘읽어라’. 그러면, 조회수는 따라온다.